hwkim3330의 블로그

View the Project on GitHub hwkim3330/blog

2025년 7월 15일 기술 대화 요약: Microchip LAN9662 기반 네트워크 시스템 분석

본 문서는 2025년 7월 15일 진행된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Microchip Technology의 LAN9662 이더넷 스위치 칩 및 관련 네트워킹 기술에 대한 핵심 내용을 정리합니다. 특히, 해당 칩의 작동 방식, 리눅스 환경에서의 제어, 그리고 다양한 이더넷 표준 및 트래픽 제어 개념을 깊이 있게 다룹니다.


1. Microchip LAN9662 개요 및 시스템 구성

1.1 LAN9662 칩의 정체성 및 역할

1.2 운영체제 지원 (RTOS vs. Linux)

Microchip은 자사의 칩에서 RTOS와 Linux를 모두 지원할 수 있습니다:


2. Linux 환경에서의 LAN9662 제어 및 상태 확인

LAN9662가 Linux 환경에서 호스트 CPU(예: Raspberry Pi CM4)에 연결되면, Linux 커널은 이를 PCIe 장치로 인식하고 해당 드라이버를 통해 이더넷 인터페이스로 노출합니다.

2.1 ip link show dev eth0 분석 (Configuration and Status)

2.2 ethtool eth0 분석 (Physical Layer Settings)


3. 트래픽 제어 및 QoS 메커니즘

3.1 플로우 컨트롤 (Flow Control - IEEE 802.3x) 및 포즈 프레임

3.2 우선순위 플로우 컨트롤 (PFC - IEEE 802.1Qbb)

3.3 폴리싱 (Policing)과 쉐이핑 (Shaping)

3.4 Time Aware Shaper (TAS - IEEE 802.1Qbv)

3.5 Frame Replication and Elimination for Reliability (FRER - IEEE 802.1CB)


이 문서는 2025년 7월 15일의 대화 내용을 바탕으로 Microchip LAN9662 관련 주요 기술적 개념들을 정리한 것입니다.